삶의 질_건강

100세가 평범한 세상으로: 항노화 연구 최신 라인업

미부24 2023. 7. 11. 12:26
728x90
반응형

100세 이상을 사는 건 더이상 흔치 않은 일은 아닐지 모릅니다. 2023년에 태어난 아이들 중 50%가 백세 이상을 산다는 전문가들의 예측에 따르면 지금부터는 장수를 기원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 대한 관심이 중심이 되어 있습니다. 또한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비용은 많은 나라들이 감당하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젊음을 유지하고, 건강한 노년기를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항노화' '역노화' 연구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항노화 연구자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 는 최근 죽음의 자주 거론 대상 으로 '노화 종말'을 주장하면서 이를 실현하려는 다양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의 연구 팀은 노화 조절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세포에서의 후성 유전체의 기능 이상을 조절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항노화 및 역노화에 커다란 희망을 주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유전자의 발현을 올바르게 조절하면 노화를 재역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혀냈고, 그 중심의 DNA와 후성 유전체를 강조합니다.

이렇게 항노화 의 연구는 노화의 원천인 손상 세포의 회복에서부터, 그리고 노화를 재역행시키는 것까지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실험 되고 있습니다. 일례로, 주중에 가장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던 성체세포를 줄기세포로 만드는 인자(Oct4, Sox2, Klf4)를 쥐에게 주입했을 때, 두드러진 역노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이 결과는 인간의 노화 과정을 되돌릴 수 있다는 증거인 동시에 전세계에 큰 기대를 주었습니다.

 

한편, 새로운 노화 방지법으로 고압산소 치료(HBOT) 라는 것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100%에 가까운 고농도 산소를 2기압 이상의 압력하에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산소 부족을 해소하고, 다양한 질환이나 손상 조직이 모두 치료되는 것을 증명해냈습니다. 또한, 석 달 동안 고압산소 치료를 받은 사람들의 피부 상태가 눈에 띄게 좋아졌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간접적으로 피부 탄력이나 콜라겐 밀도의 증가를 통해 내부적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이처럼 다양한 연구를 통해 늙음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제안되면서, 고령화 시대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제는 전 세계 과학자들과 각종 전문가들이 100세 이상을 살아가는 삶의 질 향상에 동참하여, 더 나은 내일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네티즌반응

1. "이런 연구가 더 널리 알려져서 모두가 젊고 건강인 노년기를 즐길 수 있길 바랍니다!"

2. "나이는 그냥 숫자일 뿐! 내 나이를 우리가 자신 있게 맞아들이고 볼 것입니다."

3. "과학자들이 역노화를 위해 노력하는게 흥미롭네요, 우리는 다들 100세 이상 살 수 있나봐요!"


궁금한 이야기들

Q. 2023년 출생한아이들 중 100세 이상 살게 될 비율은 얼마나 될 것으로 전망되나요?

A.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기준으로 2023년에 태어난 아이들 중 반 정도가 100세 이상까지 살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체 인구의 절반이 백세인생을 누리게 될 것이란 의미입니다. 이런 변화는 고령화 인구 증가에 따른 '노화' 연구 진행과 그에 따라 나타나는 신기술 및 치료법의 등장이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Q. 항노화 치료제 시장의 성장률은 어떻게 될 것으로 예상되나요?

A.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발표한 '2023년 글로벌 항노화 치료제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항노화 치료제 시장은 2031년까지 연평균 17.5%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전 세계 고령 인구 증가와 함께 노화 방지 및 역노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그에 따른 치료제 또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Q. 역노화 연구의 핵심은 무엇인가요?

A. 역노화 연구의 핵심은 노화에 따른 기능저하를 지연시키는 것을 넘어 몸의 기능을 생리학적으로 젊게 만드는 것입니다. 즉, 역노화 연구가 초점을 두는 것은 세포, 조직, 기관의 상태가 건강한 상태의 장수입니다. 신철 교수는 "가족도 자주 만날 수 없는 요양원 침대위에 누워 무의미하게 죽음을 기다리는 수명연장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상태에서 노년기를 보낼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역노화 연구의 핵심이다."라고 말했습니다.

Q. 저서 '노화의 종말'의 저자인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는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가요?

A.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는 노화와 유전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는 유전자 변형을 통해 노화를 되돌리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그의 연구팀은 후성유전체의 기능 이상이 노화의 원인임을 밝히고, 성체세포를 줄기세포로 만드는 인자를 쥐에 주입해 노화의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등 역노화 현실화의 포문을 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